본문 바로가기
Dev Story 💻/Coding Test

[프로그래머스][JAVA] 2020 카카오 인턴십 - 키패드 누르기

by 몽테 2022. 8. 2.
반응형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5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 [카카오 인턴] 키패드 누르기
문제 설명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2.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3.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numbershandresult
[1, 3, 4, 5, 8, 2, 1, 4, 5, 9, 5] "right" "LRLLLRLLRRL"
[7, 0, 8, 2, 8, 3, 1, 5, 7, 6, 2] "left" "LRLLRRLLLRR"
[1, 2, 3, 4, 5, 6, 7, 8, 9, 0] "right" "LLRLLRLLRL"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순서대로 눌러야 할 번호가 [1, 3, 4, 5, 8, 2, 1, 4, 5, 9, 5]이고, 오른손잡이입니다.

왼손 위치오른손 위치눌러야 할 숫자사용한 손설명
* # 1 L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1 # 3 R 3은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1 3 4 L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4 3 5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5 3 8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3이므로 왼손으로 8을 누릅니다.
8 3 2 R 왼손 거리는 2, 오른손 거리는 1이므로 오른손으로 2를 누릅니다.
8 2 1 L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1 2 4 L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4 2 5 R 왼손 거리와 오른손 거리가 1로 같으므로, 오른손으로 5를 누릅니다.
4 5 9 R 9는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4 9 5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5 9 - -  

따라서 "LRLLLRLLRRL"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왼손잡이가 [7, 0, 8, 2, 8, 3, 1, 5, 7, 6, 2]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RLLRRLLLRR"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오른손잡이가 [1, 2, 3, 4, 5, 6, 7, 8, 9, 0]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LRLLRLLRL"이 됩니다.

 


 

내가 쓴 답

 

 

 

 


느낀점

개인적으로는 레벨1문제라는게 믿겨지지 않을정도로 어려웠다.

중간 2열의 번호와 이전 손가락의 위치의 거리를 구하는게 핵심이었던 것 같다.

나같은 경우에는 2중 배열의 인덱스간의 차의 절대값으로 거리를 비교했다.

그리고 String에 +=로 문자열을 추가하는 것 보다는, StringBuilder나 StringBuffer를 사용하는 것이 성능이 좋다는 것을 배웠다.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의 차이를 나중에 시간을 내어서 정리해야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