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 Story 💻/Coding Test

[프로그래머스][JAVA]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 신고 결과 받기

by 몽테 2022. 7. 31.
반응형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3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내가 쓴 답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id_list, String[] report, int k) {
        int[] answer = new int[id_list.length];
        //id_list : 아이디 배열
        //report : 신고정보 배열
        //k : 메일이 보내지는 신고 개수의 정수
		
        //key:나, value:나를 신고한 사람의 HashSet
        HashMap<String, HashSet<String>> reportMeInfo = new HashMap<>();
		
        //id_list로 한사람씩 key에 담음
        for(String reportedId : id_list) {
            reportMeInfo.put(reportedId, new HashSet<String>());
        }

		//공백 기준으로 신고자, 피신고자 나눠서 value에 신고자를 담음
        for(String r : report) {
            String[] tmp = r.split(" ");
            String reporter = tmp[0];
            String reported = tmp[1];
            reportMeInfo.get(reported).add(reporter);
        }
		
        //몇 명의 신고자(set의 size)가 나를 신고했는지?
        //k명 이상 신고 시 이용 정지
        for(String key : reportMeInfo.keySet()) {
            if(reportMeInfo.get(key).size() >= k) {
                //나를 신고한사람에게 메일
                for(String reporter : reportMeInfo.get(key)) {
                    for(int i = 0; i < id_list.length; i++) {
                        if(reporter.equals(id_list[i])) {
                            answer[i]++;
                        }
                    }
                }
            }
        }

        return answer;
    }
}

 

느낀점

핵심은 split()메서드의 사용, 중복 신고를 허용하지 않는 전제이기 때문에 컬렉션 중에서 Set사용, 컬렉션의 이터레이터의 적절한 사용이 된 것 같다.

반응형

댓글